" 국민은 자신의 수준에 맞는 정부를 갖는다." (Every nation gets the government it deserves.)
국민의 정치적 인식과 참여 수준이 높으면 현명하고 능력 있는 지도자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더 나은 정부를 기대할 수 있다는 의미로 회자되는 메시지인데요. 6월 3일이 제21대 대통령 선거일이죠. 투표는 권리 행사임을 잊지 마시길 바랍니다. 오늘은 얼마 남지 않은 대통령 선거일을 맞아 역대 대통령의 주요 업적과 논란을 되돌아보면서 간단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1. 역대 대통령 재임기간과 주요 업적/ 논란
먼저 역대 대통령의 주요 업적과 논란을 가볍게 풀어봅니다.
1. 이승만 (1948-1960)
🔥 독립의 아버지인 줄 알았는데...
엇?! 나라 막 세우고 어깨 뽕 엄청났던 초대 대통령!
농지개혁은 칭찬해~
근데 말년엔 '나 아니면 안 돼!' 병 걸려서 결국 하야.
2. 윤보선 (1960-1962)
😥 힘없는 '얼굴 마담' 대통령. 멋쟁이 신사였지만,
시대가 격동기라 제대로 힘 한번 못 써보고 쫓겨나심.
안타까워요...
3. 박정희 (1963-1979)
💪 "따라와! 일단 만들어!" 카리스마 독재 CEO.
경제 발전은 인정! 고속도로 쫙쫙!
독재와 인권 억압했다는 부정적 이미지 어쩔!
근데 너무 오래 하셔서... 끝은 비극적.
4. 최규하 (1979-1980)
🥺 어쩌다 보니 대통령...
박 대통령 갑자기 떠나시고 얼떨결에 대통령 됐는데,
밑에 부하들이 너무 셌어... 결국 또 쫓겨나심.
5. 전두환 (1980-1988)
😠 "야! 나와!" 쿠데타로 시작한 군부독재.
5.18 광주 민주 항쟁- 민주 시민 탄압으로
국민들한테 엄청 찍힘.
88 올림픽 개최지로 선정된 것은 잘했네? 🏅
6. 노태우 (1988-1993)
국민들의 격렬한 민주화 요구로 어쩔 수 없이~
🤝 "그래도 민주화는 해야지..."
어쩌다 보니 6.29 선언으로
민주화 대통령(?)
전 대통령의 오른팔이었는데,
국민들 무서운 줄 알고 민주화 요구 받아들임.
북방정책은 신의 한 수! 🌍
7. 김영삼 (1993-1998)
🕺 "칼국수 좋아! 금융실명제 딱!" 호탕한 개혁 대통령.
군대 '하나회' 싹 정리하고 금융실명제 딱!
외환 위기 맞은 건 좀... 🍜
8. 김대중 (1998-2003)
☀️ "화해와 용서의 DJ." 최초의 수평적 정권 교체!
IMF 극복하고
북한 가서 김정일이랑 남북정상회담! 🤝
9. 노무현 (2003-2008)
🗣️ "국민 여러분, 제 말 좀 들어보세요!"
촌철살인 개혁 대통령.
권위주의 깨려고 노력했는데, 지지층은 분열.
부동산은 왜 그랬어요? 😥
10. 이명박 (2008-2013)
🛠️ "일단 삽질부터!" 불도저 CEO 대통령.
4대 강 팍팍!
근데 너무 자기 사람만 챙겼나? 🤔
11. 박근혜 (2013-2017)
👗 "우주의 기운이..." 비선 실세 논란의 여성 대통령.
최초 여성 대통령이었는데... 그분 때문에 결국 탄핵... 🎗️
12. 문재인 (2017-2022)
💙 "나라다운 나라 만들자!" 젠틀한 변호사 출신 대통령.
적폐 청산 외쳤고, 남북 관계도 좀 풀었는데...
집값은 왜 하늘로? 🚀
13. 윤석열 (2022-2025년 4월 4일)
⚖️ "법과 원칙!" 검사 출신 '스트롱맨' 대통령.
"자유" 외쳤지만
정작 자유를 억누르는 비상계엄으로 탄핵.
어때요? 좀 가볍게 정리해 봤는데요.😉
각 대통령마다 뚜렷한 캐릭터와 업적,
논란들이 있어서 참 다이나믹한 대한민국 역사인 것 같아요!
2. 역대 대통령 재임 기간/ 주요 업적과 논란 간단 정리
대한민국 역대 대통령의 재임 기간과
주요 특징을 간략하게 정리 합니다.
1. 이승만 (1~3대, 1948년 8월 ~ 1960년 4월)
-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
- 농지개혁,
-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 권위주의적 통치,
- 3.15 부정선거로 하야 ( 대통령 자리에서 내려옴)
2. 윤보선 (4대, 1960년 8월 ~ 1962년 3월)
- 내각책임제 개헌 후 대통령 당선 짧은 재임 기간,
- 정치적 혼란
3. 박정희 (5~9대, 1963년 12월 ~ 1979년 10월)
-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추진, 경부고속도로 건설
- 유신헌법 선포, 장기 집권, 10.26 사건으로 사망
4. 최규하 (10대, 1979년 12월 ~ 1980년 8월)
- 10.26 사건 후 대통령 권한대행, 대통령 당선
- 12.12 군사반란, 5.18 민주화운동, 하야
5. 전두환 (11~12대, 1980년 8월 ~ 1988년 2월)
- 12.12 군사반란으로 정권 장악, 5 공화국 출범
- 경제 성장, 3저 호황
- 권위주의 통치,
- 5.18 민주화운동 강경 진압, 6월 민주 항쟁으로 하야
6. 노태우 (13대, 1988년 2월 ~ 1993년 2월)
- 6.29 선언, 88 서울 올림픽 개최
- 북방정책 추진, 소련, 동유럽 국가와 수교 민주화 진전,
하지만 군부 잔재, 비자금 사건
7. 김영삼 (14대, 1993년 2월 ~ 1998년 2월)
- 문민정부 출범, 금융실명제 실시 하나회 해체,
- 역사 바로 세우기
- IMF 외환 위기
8. 김대중 (15대, 1998년 2월 ~ 2003년 2월)
- IMF 외환 위기 극복, 남북정상회담 개최
- IT 산업 육성, 문화 산업 지원
- 햇볕정책 추진
9. 노무현 (16대, 2003년 2월 ~ 2008년 2월)
- 참여정부 출범, 권위주의 청산 노력
- 지방 분권 강화, 검찰 개혁 시도
- 한미 FTA 협상 개시 / 타결
- 부동산 가격 급등, 지지층 분열, 탄핵 소추
10. 이명박 (17대, 2008년 2월 ~ 2013년 2월)
- 실용주의 정부 표방, 녹색성장 추진
- 4대 강 사업 추진, 한미 FTA 체결 공식 발효
민간인 사찰 논란, 언론 통제 논란
- 다스 자금 횡령 및 뇌물 수수 등 혐의 인정돼
대법원은 징역 17년과 벌금 130억 원 확정 -
윤석열 정부에서 특별사면
11. 박근혜 (18대, 2013년 2월 ~ 2017년 3월)
- 최초 여성 대통령, 창조경제 추진 세월호 참사,
- 역사교과서 국정화 논란
- 최순실 국정농단 사건으로 탄핵됨
- 문재인 정부 시기에 특별 사면됨
12. 문재인 (19대, 2017년 5월 ~ 2022년 5월)
- 적폐 청산, 검찰 개혁 추진- 미흡
- 남북정상회담 개최, 코로나19 팬데믹 대응
- 부동산 가격 급등, 검찰 개혁 논란
13. 윤석열 (20대, 2022년 5월 ~ 2025년 4월 4일)
- 검찰 출신 대통령, 법치주의 강조
- 한미 동맹 강화, 탈원전 정책 폐기
- 노동 개혁 추진, 정치적 논쟁 심화
- 비상계엄 선포로 인해 2025년 4월 4일 파면됨
각 대통령의 업적과 평가는 어떤 부분에 초점을 맞추느냐에 따라
다양한 시각이 존재한다고 할 수 있죠.
그러나, 대통령은
국가에 긍정적인 동력을 제공하고
민주적 가치를 실현하며
사회 갈등을 조정하는 등의
여러 종합적 측면으로 평가 받게 됩니다.
이번 6.3 대통령 선거에서는
대통령의 권한으로
국민위에서,
법위에서 군림하고
그 권리를 누리려는 대통령이 아닌
국민의 나은 삶을 위해
봉사하고,
열심히 나라를 운영해보겠다고 하는
후보에게 투표합시다.
21대 대통령 선거 투표연령/ 투표일 준비물⬇️⬇️⬇️
21대 대통령 선거 투표 연령 고3 대선 투표권 및 투표일 준비물
대한민국 제21대 대통령 선거에 참여할 수 있는 나이와 피선거권인 대통령 후보로 출마할 수 있는 나이도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그리고 투표 절차와 투표일 준비물도 본문에 정리해드렸습니다.
one-cube.tistory.com
'일상다반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은행 빚 다 갚았다면 필수! 근저당 설정 해지 방법, 말소 시 필요 서류는? (1) | 2025.05.22 |
---|---|
공화국이란? 공화국 뜻- 왕은 없다. (1) | 2025.04.25 |
나도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일까? 쉽고 빠르게 확인하기 (1) | 2025.04.21 |
필사 효과 200% 끌어 올리는 스마트한 필사 방법 (1) | 2025.04.20 |
징병제 모병제 뜻 차이 군복무를 둘러싼 불만 이모저모! (0) | 2025.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