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속에서 알아두면 좋을 금융상식 중에서 우리가 자주 이용하는 은행중 어느 은행이 더 안전한 지에 대해 알아볼게요. 1금융권과 2금융권의 차이와 은행종류 알아보는 시간이에요. 더블어 1금융권 순위도 정리해 보았어요. 궁금하신 분들은 꼼꼼하게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 제목>
1. 1금융권과 2 금융권 차이
2. 1금융권 은행 종류/ 2 금융권 은행 종류
3. 1금융권보다 2 금융권이 더 위험한가?
1. 제1금융권과 2금융권 차이
가장 큰 차이는 "은행법"의 적용 여부예요!
1) 제1금융권: 은행법을 적용받는 곳!
우리가 흔히 아는 "은행"들이 대부분 여기에 속해요.
좀 더 깐깐한 규제를 받아서 안정성이 높다고 평가받지만,
대출 조건이 다소 까다로울 수 있고 예금 금리가 낮을 수 있어요.
2) 제2금융권: 은행법이 아닌 다른 금융 관련 법
(예: 저축은행법, 신용협동조합법 등)을 적용받는 곳!
은행은 아니지만 예금이나 대출 등
비슷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들이에요.
제1금융권보다 대출 조건이 비교적 덜 까다롭고
예금 금리가 높을 수 있지만,
상대적으로 안정성은 낮다고 평가됩니다.
더 자세한 차이점은 아래 소제목 3번에서 다룰게요.
2. 1금융권과 2금융권 종류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1) 제1금융권 (주로 "은행") 은행 종류
시중 은행으로는
KB국민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SC제일은행
한국씨티은행
지방은행은
부산은행
경남은행
대구은행
광주은행
전북은행
제주은행
iM뱅크 (구 대구은행)이 있고요.
인터넷전문은행으로는
케이뱅크
카카오뱅크
토스뱅크
특수은행 (국책은행 성격):
IBK기업은행
KDB산업은행
NH농협은행 (농협중앙회) Sh수협은행
한국수출입은행이 1 금융권에 속합니다.
참고로 1금융권 은행 순위도 알아볼게요.
1위 kb국민은행
2위 신한은행
3위 하나은행
4위 우리은행
5위 농협은행
순위가 앞선 은행은 아무래도 자본력이 튼튼해서
안전한 은행이라는 평가를 받았다고 할 수 있는데요.
안전한 만큼 대신 예적금 이자는 낮아요.
2) 제2금융권 은행종류
저축은행으로는
SBI저축은행
OK저축은행
웰컴저축은행
유진저축은행 등
상호금융기관 (협동조합 형태):
신용협동조합 (신협)
새마을금고
농협 (지역 농협)
수협 (지역 수협)
산림조합
보험회사는
삼성생명
한화생명
교보생명
DB손해보험
현대해상 등
증권회사 (금융투자회사):
한국투자증권
삼성증권
미래에셋증권
NH투자증권 등
카드회사 (여신전문금융회사):
신한카드
삼성카드
현대카드
KB국민카드
롯데카드 등
캐피털 회사 (여신전문금융회사):
현대캐피탈
KB캐피털
신한캐피털 등
종합금융회사 (과거 단자회사)
핵심 요약 다시 한번!😅
1 금융권 = 은행! (안정성↑, 대출↓, 예금↓)
2 금융권 = 은행 '빼고' 비슷한 금융 서비스 제공! (안정성↓, 대출↑, 예금↑)
어떤 금융기관을 이용할지는 개인의 필요와 상황에 따라
선택하시면 되겠습니다! 😊
3. 1 금융권보다 2 금융권이 더 위험한가?
1금융권보다 2금융권이 조금 더 위험하다고 여겨지는 데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어요.
2금융권의 특징을 살펴보면서 그 차이점을 정리해 볼게요.
1)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고 자본력이 약할 수 있어요.
1금융권인 시중은행들은 오랜 역사와 탄탄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운영되는 경우가 많아요.
반면 2금융권의 저축은행이나 일부 상호금융기관은
규모가 작고 상대적으로 자본력이 약할 수 있습니다.
작은 충격에도 휘청거릴 가능성이
1금융권보다 조금 더 높다고 볼 수 있죠.
2) 고위험 자산에 대한 투자 비중이 높을 수 있어요.
1 금융권은 비교적 안정적인 대출 위주로
영업을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2금융권은 1금융권에서 대출받기 어려운 계층이나 사업에
대출을 해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곧 부실 채권이 늘어날 위험이
1금융권보다 높다는 의미가 될 수 있습니다.
최근 부동산 PF 부실 문제에서
2금융권의 우려가 더 크게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에요.
3) 규제가 상대적으로 덜 엄격할 수 있어요.
1금융권은 은행법이라는 엄격한 법규의 적용을 받으며,
금융 당국의 감시도 더 강하게 받는 편입니다.
2금융권은 각 업권별 법률의 적용을 받는데,
은행법보다는 규제가 다소 느슨할 수 있습니다.
이는 위험 관리에 있어서 1금융권보다
취약한 부분이 있을 수 있다는 의미겠죠.
4) 예금자 보호 한도는 동일해요!
중요한 점은 예금자 보호법에 따라 1금융권과 2금융권 모두
예금 원리금 ( 원금 + 이자 )을 합하여
1인당 5천만 원까지 (향후 1억 원으로 상향 예정)
보호받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즉, 예금 자체에 대한 법적인 보호 장치는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쉽게 말하면:
1 금융권은 "튼튼한 대기업" 같은 느낌이라면,
2 금융권은 "성장 가능성은 높지만
조금 더 변동성이 큰 중소기업" 같은 느낌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아요.
물론 모든 2금융권이 다 위험하다는 것은 절대 아닙니다!
건실하게 운영되는 곳도 많으니까요.
결론적으로, 2금융권이 1금융권보다 약간의 위험성을
더 내포할 수 있다는 의미이지,
무조건 위험하다는 뜻은 아니에요.
예금자 보호 제도를 잘 이해하고,
개인의 판단에 따라 금융기관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이상으로 1 금융권과 2 금융권 차이점과 은행 종류,
1금융권 은행 순위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예금자 보호법 1억 한도 시행시기/ 예금자 보호법에 해당 없는 은행은?⬇️⬇️⬇️
예금자 보호법 한도 1억 시행 시기와 예금자 보호법에 해당 없는 은행은?
안녕하세요! 예금자 보호법 한도 5000만 원에서 1억 원으로 상향된다는 것 많은 분들이 알고 있는 소식이죠? 예금자 보호 한도가 1억으로 상향되는 시기, 언제 본격적으로 시행될지에 대해 궁금하
one-cube.tistory.com
2025년 21대 대통령 선거 일정 알아보기⬇️⬇️⬇️
내 손으로 뽑는 대통령 2025년 제21대 대선 일정 날짜 후보 한눈에 보기
대한민국 제21대 대통령 선거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으로 인해 조기에 실시됩니다.대선 주요 일정 및 날짜, 대통령 선거 출마 후보와 출마 가능성 후보에 대해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one-cube.tistory.com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금자 보호법 한도 1억 시행 시기와 예금자 보호법에 해당 없는 은행은? (0) | 2025.04.10 |
---|---|
21대 대통령 선거 투표 연령 고3 대선 투표권 및 투표일 준비물 (0) | 2025.04.09 |
옷에 묻은 기름때 얼룩 제거 이 방법이 딱이네요. (0) | 2025.03.30 |
양파 보관 방법- 이렇게 보관하면 양파 버릴 일이 없어요 (0) | 2024.10.25 |
국민연금 임의가입 자격 방법 가격 자녀 신청 후기 (7) | 2024.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