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다반사

내 손으로 뽑는 대통령 2025년 제21대 대선 일정 날짜 후보 한눈에 보기

by onecube 2025. 4. 9.
반응형

대한민국 제21대 대통령 선거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으로 인해 조기에 실시됩니다.

대선 주요 일정 및 날짜, 대통령 선거 출마 후보와 출마 가능성 후보에 대해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대선일정-날짜
대선 일정/ 날짜/ 대선 출마 후보 정리

 

 

대선-일정
21대 대선 일정

 

 

 

대선-일정
21대 대선 일정

< 목차> 

1. 대통령 선거 주요 일정 및 날짜

2. 대선 후보 정리

 

 

1. 대통령 선거 주요 일정 및 날짜

 

- 제21대 대통령 선거일 ( 대선 날짜 ): 2025년 6월 3일 (화요일) - 임시공휴일 지정

- 예비후보자 등록 신청: 2025년 4월 4일 (금)부터

- 후보자 등록 신청: 2025년 5월 10일 (토) ~ 5월 11일 (일) (매일 오전 9시 ~ 오후 6시)

 

- 공식 선거운동 기간: 2025년 5월 12일 (월) ~ 6월 2일 (일) (22일간)

- 재외국민 투표: 2025년 5월 20일 (화) ~ 5월 25일 (일) (6일간)

                        ( 매일 오전 8시 ~ 오후 5시까지 )

 

- 사전투표: 2025년 5월 29일 (목) ~ 5월 30일 (금) (오전 6시 ~ 오후 6시)

- 개표: 2025년 6월 3일 (화) 투표 종료 직후 

- 당선인 확정 및 임기 시작: 2025년 6월 4일 (수)

 

 

2. 대선출마 후보 정리

 

주요 대선 후보 (2025년 4월 9일 기준, 출마 선언 및 언론 보도 기준)와 출마 가능성 후보 정리

< 더불어민주당 > 

- 이재명 (4월 9일 자로 당 대표직 사퇴, 여론조사 선두): 출생 1964년 12월 22일

- 김두관 (국회의원, 4월 7일 출마 선언) : 출생 1959년

- 김동연 ( 경기도지사, 4월 9일 출마선언 ) 출생 1957년

 

- 김경수 (전 경상남도지사, 출마 가능성)

- 김부겸 (전 국무총리, 출마 가능성)

- 김영록 (전라남도지사, 출마 가능성)

- 이광재 (전 강원도지사, 출마 가능성)

- 전재수 (국회의원, 출마 가능성)

 

< 국민의힘 >

-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 4월 9일 출마 선언) : 출생 1951년 8월 27일

- 안철수 (국회의원, 4월 8일 출마 선언) : 출생 1962년 2월 26일

 

- 오세훈 (서울시장, 출마 가능성)

- 유승민 (전 국회의원, 출마 가능성)

- 한동훈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출마 가능성)

- 홍준표 (대구시장, 4월 14일 공식 출마 예정)

- 김태흠 (충청남도지사, 출마 검토 중)

- 유정복 (인천시장, 4월 9일 출마 선언 예정)

- 이철우 (경상북도지사, 4월 9일 출마 선언 예정)

 

대선-후보
국민의 힘 5월 3일 최종 대선후보 선출

 

반응형

 < 개혁신당>

- 이준석 (국회의원, 이미 당 대선 후보로 선출) : 출생 1985년

 

< 진보당 >

- 강성희 (전 국회의원, 4월 8일 출마 선언 ) : 출생 1980년

- 김재연 (진보당 상임 대표, 4월 8일 출마 선언 ) : 출생 1972년 

 

< 기타> 

- 이정현 (전 새누리당 대표, 4월 8일 출마 선언) : 출생 1958년 

 

참고사항

- 위 후보 목록은 현재까지 언론 보도 및 출마 선언을 기준으로 작성되었고요.

최종 후보는 각 당의 경선 및 후보 등록 과정을 거쳐 확정됩니다.

 

경선뜻 : 둘 이상의 후보가 경쟁하는 선거라는 뜻으로

한 당에서 여러명의 후보가 나왔을 때

정당이 공식적으로 최종 후보를 결정하는 과정입니다.

 

- 국무위원 및 광역/기초자치단체장은 대선일 30일 전인

5월 4일까지 공직에서 사퇴해야 합니다.

 

- 조국혁신당은 대선 후보 선출 여부를 고심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번 21대 대통령 선거는 윤석열 전 대통령이 파면되어

대통령 궐위( 어떤 직위, 관직의 자리가 빔) 상태이죠.

 

그래서 조기 대선이 이루어지고

각 후보들의 치열한 경쟁이 예상됩니다.

앞으로 계속 발표될 각 당의 공식 후보 및 선거 운동 과정을 주목하시기 바랍니다.

 

민주주의 국가에서 선거는 국민이 주권을 행사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입니다.

투표에 참여하지 않으면 우리의 목소리를 낼 기회를

스스로 포기하는 것입니다.

더 나은 미래를 만들기 위해

대통령 선거에 모두 참여합시다.

 

반응형